1. EC2 선택

2. 인스턴스 선택

3. 연결 선택

4. Session Manger 선택

5. 터미널에 입력
<bash />
baah
cd ~
bash는 shell의 한 종류이며 컴퓨터에게 텍스트로 명령은 내릴수 있는 프로그램이다.
<bash />sudo apt update
터미널을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 해준다.
<bash />curl -o-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nvm-sh/nvm/v0.39.3/install.sh | bash wget -qO-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nvm-sh/nvm/v0.39.3/install.sh | bash
둘 중 하나 입력해서 nvm 설치하기 참고) https://github.com/nvm-sh/nvm
GitHub - nvm-sh/nvm: Node Version Manager - POSIX-compliant bash script to manage multiple active node.js versions
Node Version Manager - POSIX-compliant bash script to manage multiple active node.js versions - GitHub - nvm-sh/nvm: Node Version Manager - POSIX-compliant bash script to manage multiple active nod...
github.com

nvm 파일이 /home/ssam-user/.profile 에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.
`vi ~/.profile` 입력
`vi`는 터미널에서 문서를 편집할 수 있게 해준다.
`i` 입력 해서 INSERT 모드로 변경 후 아래 코드 추가 해주기
<bash />
export NVM_DIR="$([ -z "${XDG_CONFIG_HOME-}" ] && printf %s "${HOME}/.nvm" || printf %s "${XDG_CONFIG_HOME}/nvm")"
[ -s "$NVM_DIR/nvm.sh" ] && \. "$NVM_DIR/nvm.sh" # This loads nvm
esc 누르고 `:wq`입력하기 (입력 후 저장하고 나오겠다 의미)
` . ~/.profile` 입력해서 재로딩해주기 (앞에 내용 입력 안하고 재로딩만 해줘도 nvm 사용 가능)

node와 npm 설치하기
<bash />
nvm install node
sudo apt install npm

6. 리포지토리 SHH로 클론하기
클론하기 전에 SHH 키 발급 받기
아래 코드 입력 후 중간에 멈추면 엔터 치키 (총 3번)
<code />ssh-keygen

다음 명령어로 공개키 확인하고 복사하기
<code />
cat ~/.ssh/id_rsa.pub
깃허브 셋팅에서 SHH and GPG keys 탭에서 shh키 추가하기
추가 완료 후 클론하기
클론 완료되면 server파일로 이동 후 서버 키기
<bash />
cd fe-sprint-practice-deploy/server/
sudo npm start

30분 뒤에 서버가 자동으로 닫치는데 다시 열라고하면 이미 열려있어서 안된다고 나온다.
그럼 직접 서버 종료 후 다시 켜줘야한다.
`sudo lsof -P -i :80` 으로 현재 서버 상태 확인할 수 있으며, PID는 서버 이름이다.
`sudo kill -9 PID입력`으로 서버 죽이기
참고) 코드스테이츠 유어클래스
'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I/CD (0) | 2023.04.03 |
---|---|
S3 배포 실습 (0) | 2023.04.02 |
AWS (0) | 2023.03.31 |
Lighthouse (0) | 2023.03.30 |
GitHub GraphQL API (0) | 2023.03.30 |